구분 | 교과영역 | 교과목 | 이수학점/시간 |
공예 | 교수역량 | 공예 교육론 | 2학점(30시간) |
공예 감상 및 비평 | 2학점(30시간) | ||
창의적 방법을 통한 공예교수법 | 2학점(30시간) | ||
공예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 2학점(30시간) | ||
통합 예술교육 프로그램 이해 | 2학점(30시간) | ||
예술전문성 | 공예의 역사와 이론 | 3학점(45시간) | |
공예실습 제작기법 | 3학점(45시간) | ||
공예교육 평가의 이해와 실제 | 3학점(45시간) | ||
문화예술 교육의 이해 | 3학점(45시간) | ||
벤치마킹 기법 및 사례 | 3학점(45시간) | ||
전시기획 | 3학점(45시간) | ||
전시관람 | 3학점(45시간) | ||
기초조형 | 3학점(45시간) | ||
도자공예 | 3학점(45시간) | ||
목공예 | 3학점(45시간) | ||
본 교과는 공예교과의 개념을 정의하고 학문적 특성을 논의하는 가운데 공예교과의 교과론적 가치와 그 의의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공예교과교육론의 이론을 바탕으로 공예교육의 의미와 역할, 공예교육과 교육과정, 평가 등에 대해 다양한 탐구를 진행하고 공예교육론의 중요성과 전반적인 문제점을 논의하며 새로운 공예교육 방향을 탐색하여 본다.
본 교과는 문화예술교육사가 공예품의 미적 가치를 느끼고, 이해하고, 판단하는 내면화 과정을 통하여 미적 감각과 표현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하며 공예 감상과 비평 방법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역량을 계발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공예의 발달사와 우리나라 공예의 특성 연구, 현대 생활 속의 공예 특성 연구와 공예품 표현의 특징 분석과 해석을 통한 감상활동 등을 통해 공예품의 가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이와 함께 효과적인 공예 감상과 비평의 교수 방법을 모색하도록 한다.
본 교과는 창의적인 공예교육 방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창의성 개발을 위한 교수 방법, 동기 유발 방법, 활동 전략 등의 창의적 교수 기법을 문화예술교육사가 습득하고, 전통적인 공예교육 방법에서 벗어나 새로운 창의적 공예교육 방법을 스스로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기본적인 창의성 이론과 창의적 교수 기법, 창의적인 활동 전략, 창의적 공예교육 사례 등을 살펴보고 창의적 공예교육을 위한 수업모형과 교수학습 방법을 새롭게 구성하고 적용해 보도록 한다.
본 교과는 다양한 공예 교수학습 방법을 기반으로 하여 교수학습 전략을 활용하면서 실제 수업에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공예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역량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의 원리와 방법을 살펴보고 영역별 공예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특징과 학습자 특성에 따른 공예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특징을 파악한다. 또한 우수한 공예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사례를 검토하여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의 아이디어를 탐색한 후, 공예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하고 시연 발표 ․ 수정 ․ 보완의 과정을 거쳐 실제 공예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해 볼 수 있도록 한다.
본 교과는 통합 예술교육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다양한 교육현장에서 공예교육과 관련한 통합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통합 교육과 통합 예술교육에 대한 기본 이론과 용어, 개념을 살펴보고, 통합 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사례를 살펴보며, 통합 예술교육의 제 원리를 활용하여 공예와 음악, 영화, 지리, 과학 등의 다양한 교과를 통합하여 통합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본다. 그리고 이러한 활동을 통해 통합 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적용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본 교과목은 공예의 역사, 개념, 시대별 디자인 등의 이론적 지식을 습득 하므로써, 과거 그 시대에 만들어진 공예품의 형태, 색 그리고 쓰임새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공예의 역사를 통해 , 현대 공예작품 형태의 기원을 찾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과목은 실내외 공간에서의 공예 디자인에 대한 이해와 목표를 둔다. 현대 공예의 트렌드를 이해하고, 실습을 통한 공예의 과정 습득에 중점을 둔다.
공예의 영역별 조형적 의미를 이해하며 아동 및 청소년의 발달 단계에 따른 표현의 특징을 이해하고, 공예교육의 현장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본 교과목은 21세기에 문화예술을 다양한 방식으로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기별 특성과 변화 방향성을 학습하고 더 나아가 현대 문화 예술 교육의 새로운 비젼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벤치마킹의 개념을 이해하고 기법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의 경영혁신을 촉진하고 특정한 대상을 벤치마킹하여 새로운 공예교육의 방법을 제시한다.
전시기획이란 기획자의 특정한 의도 하에 미술을 대중과 만나게 하는 중요한 사회적 행위이다.
전시관람이란 기획자의 특정한 의도하에 미술을 대중과 만나게 하는 중요한 사회적 행위다.
기초적 실기 능력을 함양시켜 창조적 표현 능력과 감상능력, 사고 능력을 향상시키고 형태의 기초개념과 표현을 습득한다.
우리나라를 위시한 외국의 도자를 이해하고 그 표현 방법을 비교 분석하여 실습함으로써 도자공예에 대한 이해를 넓힌다.
인간생활과 소품 및 소품가구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소품의 변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현대생활 공간에서의 소품의 위치와 영역을 확대하고 새로운 생활소품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